비디오로그

(문짝 4개 WBSS1)제주국제공항 주차빌딩&김해국제공항 국내선 주차빌딩 현대엘리베이터 탑사기

Hyundai Casper 2021. 10. 1. 03:22

 

제주국제공항{유튜브 제2계정 https://youtu.be/O2N-x8PqbAQ에도 업로드되어 있습니다. 2017.06.30 WBSS1(2500kg 38인승, 60m/min)이며, 2대가 독립운행에 예고기능이 없고 외부문짝은 4단식 꺾인문틀(동대구복합환승센터 대구신세계백화점 B6~9층 운행용 문짝4개 호기랑 동일한 방식)+내부문짝은 문틀 안쪽 길쭉한고무 붙여진 방식입니다.
이곳 주차빌딩 2층을 통해 제주시내 방면으로 도보 이동이 가능하며, 동일용량 동일기종(년식이랑 내외부디자인만 다릅니다.) 설치된 김해국제공항 국내선 주차빌딩처럼 1층을 통해 밖으로 나가서(우천시 비 맞지 않도록 하는 투명 칸막이 천정 구조물이 있습니다.) 공항 청사 건물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이곳이랑 청사 본관동 사이에 2012년식 유압식 WC-HYD호기 1대가 존재하며, 청사 본관동 건물 내부 구간은 2011~2012년식 LXVF1/SSVF5, 2017년식 WBSS2 등등이 있는데 전부 독립운행합니다.
}

 

김해국제공항[유튜브 제2계정 https://youtu.be/9eZZLU4zY5E에도 업로드되어 있습니다. 2020.03.27 WBSS(E)(M)(2500kg 38인승, 60m/min)이며, 제주국제공항 주차빌딩이랑 마찬가지로 2대가 독립운행하고 예고기능이 없습니다. 이곳도 동대구복합환승센터 대구신세계백화점, 제주국제공항 주차빌딩 등등처럼 외부문짝에 4단식 꺾인문틀이 적용되어 있는데 확실히 여기 것은 개선형 버전이고 외부문짝 문틀 가운데 음푹 패인 부분의 아래쪽에 들어가는 정사각형 모양의 자그마한 고무의 두께가 어느정도 두꺼워졌는지 문 여닫힐때 덜컹거림 및 쾅소리가 훨씬 덜해졌으며, 문짝 4개 사양답게 내부문짝은 문틀 안쪽 길쭉한고무가 붙여져 있습니다.
1층을 통해 밖으로 나가서(우천시 비 맞지 않도록 하는 투명 칸막이 천정 구조물이 있습니다.) 공항 청사 건물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국내선청사 건물 내부 구간은 2008~2009년식 OTIS엘리베이터(SIGMA Si1), 현대엘리베이터 LXVF-7,SSVF7을 운용중에 있으며, 국제선청사 건물 내부 구간은 2007.09.13 에이엔티(아남테크)(2018.11 누리엔지엔지니어링으로 리모델링, before 삼일엘텍 방식)랑 2015.12.07 누리엔지엔지니어링 NETIS330을 운용중에 있고 국제선 주차빌딩은 2014.08.07 OTIS엘리베이터(SIGMA GPR)를 운용중에 있는데 전부 독립운행합니다.
여담이지만 광명역에 2003년식 동양엘리베이터 HYD(BERING으로 남아있는 나머지 호기도 교체된다면{참고로 거기 부산,포항,마산/진주,여수엑스포,목포방면 열차승강장 엘리베이터는 2018년 후반식 삼일엘텍 방식으로 교체되어 있습니다. 공항,철도역 등 공기업 계열 교통시설 건물들의 승강설비(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무빙워크 등) 사용연한 20년 이내의 규정상 늦어도 2023년 중반 이전까지는 교체되어야 하며, 현재 중소업체 제어반으로 대용량 MRL방식 생산중인 곳은 삼일엘텍 방식이 유일한데 공기업,공공기관 등 소속의 건물들 특성상 한 회사 제어반 방식으로의 독점 출고가 불가능합니다.} 이거랑 비슷한 사양으로 출고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위 동영상 엘리베이터의 디자인이 굉장히 멋지다는 생각이 듭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