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외부운전반,내외부층표시기가 60년대~80년대 초반식 AC-2다운 1999년식 화물용(침대용) 미쓰비시엘리베이터+외부운전반에도 HOLD(일본 엘리베이터에서는 開延長이라고 적혀져 있으며, 개연장,..
https://www.youtube.com/watch?v=QsPGkbVyLXs
이 링크는 일본 카나자와시(나고야에서 버스로 4시간~4시간반 정도 걸리는 거리입니다.)적십자병원의 AC-2다운 1999년식 VP-L(?) 최후기형 화물용(B1~5층 운행용)이며, 일본의 구형 화물용엘리베이터 답게 내부운전반에는 닫힘버튼이 없고 외부운전반에는 부름(CALL,呼),닫힘(CLOSE,閉) 버튼이 있습니다.{90년대식 미쓰비시엘리베이터 VP-L계열 제품에 60~80년대 초반 AC-2에서 볼법한 내외부층표시기,내외부운전반을 적용한 곳은 드문 편인데 울산호텔 자동차용 ACM 1996식이랑 저곳 등등이 대표적입니다. 저곳 내부운전반은 blog.daum.net/elevatortrainkim/1661에 있는 것이랑 동일하고 최후기형이라 내외부가 깔끔하고 상태가 아주 좋은 편입니다. 그리고 내부운전반에 닫힘버튼이 없고 외부운전반에 올라감,내려감 방향버튼 대신 부름,닫힘버튼만 있는 일본 구형 화물용,자동차용 엘리베이터 특성상 외부운전반 닫힘버튼이나 내부운전반 층버튼을 문이 완전히 닫힐때까지 꾹 누르고 있어야 문이 제대로 닫히고 엘리베이터가 운행하는 경우가 있긴 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Qc-lacyw0kw
이 링크는 일본 아코시민병원 신관(오사카에서 몇시간 걸리는지는 모르겠지만 열차를 3번 갈아타야 합니다.) 침대용 후지테크엘리베이터(1000kg 15인승인데도 카내부 크기가 30인승짜리랑 맞먹을 정도입니다.)이며, 2012~2013년식 FSND로 추정됩니다.{외부운전반에 위아래로 2개씩 올라감,내려감버튼이 있고 그 사이에 HOLD(開延長),긴급(비상통화버튼인지 비상정지버튼인지 잘 모르겠습니다.),닫힘버튼이 있으며(전 세계에서 거의 유일한 방식입니다.), 엘리베이터에서 내릴려는 사람이 실수로 내부운전반 HOLD(開延長)버튼을 눌렀을 경우(특히 엘리베이터 카내부 탑승한 승객이 많을 때 주로 일어나는 일입니다. 내부운전반 HOLD버튼을 누를 경우 굳이 열림버튼 길게 누를 필요 없이 2분이상 문이 열린 상태로 대기시키는 모드라 편하긴 한데 다른 층에서 엘리베이터 탑승하려는 승객의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내리기 직전 내부운전반 HOLD버튼 실수로 누름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닫힘버튼 누르고 내리다가 문 닫힐때 신체나 물건이 끼일 우려가 있습니다. 내부운전반에 HOLD버튼 있는 엘리베이터들 전부 외부운전반에도 HOLD,닫힘버튼을 설치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같은 유사시 외부운전반 닫힘버튼을 눌러서 타층에서 엘리베이터 탑승하려는 승객의 대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저 방식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 링크에 해당하는 엘리베이터 외부운전반 HOLD버튼과 닫힘버튼 사이에 있는 긴급버튼에 플라스틱 덮개가 씌워져 있습니다.(영상의 1:24부분에 자세히 나옵니다.)}